디어와 함께 일상을 바꿀 동료를 찾습니다.
/
디어 팀원들을 소개합니다
디어 팀원들을 소개합니다
인터뷰
Search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해!
나는 디어에서 대표 역할을 맡고 있는 팽동은이라고 해.
Q. 다른 사람이 보는 동은오빠는 어떤 사람이야?
솔직히 모르겠어... 그런데 디어에서 운영하는 동료 피드백 제도 덕분에 남이 보는 나의 특징을 한 가지 최근에 알게 됐어. 내가 얼굴을 자주 비빈대. 막 이렇게 (흉내) 하는데 그게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사람처럼 보인대. 얘기할 게 있어서 내 자리를 찾아왔는데 말을 걸기가 어려워진다고 하네... 하하핫! 난 진짜 얼굴 마사지할 때의 느낌이 좋아서 그런 건데 말이야... (시무룩)
좀 더 일반적으로 얘기해보자면 나보고 기계적이다, 라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조금 있어. 그리고 어릴 때는 "커서 사람 구실 하겠냐"라는 얘기도 친척들이 엄마한테 했었대. 내가 엄마랑 하도 떨어지길 싫어해가지고. 뭐, 지금은 잘 큰 거지!
Q. 자타공인 일벌레의 여가생활이 궁금해!
나는 여가 시간에 사람을 안 만나. 거의. 일단 친구가 극히 적어서 사람 만날 일이 별로 없어.
여가 시간에는 크게 2가지 활동 밖에 안 하는 것 같아. 첫째가 책 보는거고, 둘째가 코딩하는 거! 내 개인 프로젝트를 3~4가지 정도 하고 있어. 최근에는 앱을 하나 출시했어 누구한테 얘기를 하진 않았지만. 플레이스토어에 출시를 했고 iOS에도 곧 출시할 예정이야. 풀스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나 혼자 했는데, NodeJS로 백엔드, React Native로 앱을 만들고 데이터베이스는 MySQL로 했고... (생략)
"오! 어떤 앱인데?!"
지금 출시한 지 한 달 됐는데 현재 회원 수가 200명인데 1,000명 돌파하면 알려줄게. (웃음)
[팽동은 CEO] “디어는 존경하고 믿을 수 있는 사람들과 즐겁게 일에 흠뻑 빠질 수 있는 회사”
오늘은 디어의 공동 창업자(부대표)이자 물류팀 PO를 맡고 있는
손명균
을 소개해보려고 해요.
그동안 옆에서 봐 온 명균은
다재다능
, 그리고
전력투구
딱 두 단어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디어가 단 20대의 킥보드로 건대 지역에서 처음 창업할 때는 기획자 겸 개발자 겸 디자이너를 맡았고요. 가맹 사업에 뛰어들 때는 영업본부장을 맡아 낮에는 경상도에 번쩍, 밤에는 전라도에 번쩍하며 성과를 냈었죠. 지금은 물류팀에서 캐리 서비스를 만들며 팀의 큰 축이 되고 있어요.
이날 인터뷰를 위해 만난 명균은 사무실 3층 옥상에서 눈을 감고 생각에 잠긴 모습이었어요. 이제 시작해 볼게요.
Q. 안녕! 뭐 하고 있었어?
안녕! 인터뷰 기다리는 동안 잠깐 명상하고 있었어.
Q. 종종 그렇게 눈을 감고 있는 걸 봤는데, 명상을 자주 하나 봐. 방금 명상하면서는 어떤 생각을 했어?
음… 배짱에 대한 생각? 아까 점심에 원진이형이 ‘배짱이 있는 사람이 오히려 유연할 수 있다’고 얘기했거든. 배짱이 있는 사람은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고, 그러니까 오히려 유연할 수 있다. 곧은 대나무는 거센 바람에 꺾여버릴 수 있지만, 휘는 갈대는 그 바람을 다 버텨내는 것처럼. 그런 대화를 떠올리면서 나의 배짱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어.
Q. 흥미로운 시각이네. 명균은 배짱이 있는 편이야?
[손명균 공동 창업자]"나는 밑 빠진 독처럼 hungry한 사람”
이전 글
에서 디어에 특급 개발자분들을 모시게 됐다는 말씀을 드렸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에서 온 조광일 CTO를 소개할게요.
배민에서 서비스개발팀 가게노출파트장을 맡았던 광일이 디어로 합류했어요. 이후 광일과 함께 즐겁게 일했던 이전 동료들도 줄줄이 디어에 입사했고요. 디어에겐 백만대군 부럽지 않은 든든한 원군이죠.
광일은 인터뷰 내내 디어의 원석 같은 주니어 개발자들을 자신과 같은 문제해결 능력이 뛰어난 개발자로 성장시키는 것에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이어지는 인터뷰에서 만나보시죠. 아 참, 디어는 구성원들이 서로 반말로 소통하는 문화를 갖고 있어요. 그래서 인터뷰도 반말로 진행됐답니다.
Q. 광일은 디어에 오기 전에 어떤 곳들을 거쳐왔고, 어떤 일들을 해왔어?
원래 나는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까지 학업을 계속할 생각이었어. 실리콘밸리 개발자 출신 교수님 아래서 2학년부터 학부 연구생을 했거든. 그때는 시스템 레벨에서의 프로그래밍이 주된 전공이었어.
우아한형제들에 들어가게 된 건 아내의 추천이 계기였어. 배민 디자이너로 일하던 아내가 “우리 회사 너무 좋은 데 와볼래?”라고 제안했거든. 학교 밖, 필드에서 배울 것도 많겠다 싶어 들어왔지.
우형에서 마지막 직책은 배민 서비스개발팀 가게노출파트장이었어. 사용자가 배민 앱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장바구니에 메뉴를 담을 때까지 일어나는 전체 흐름에 관여했어. 가게와 메뉴를 탐색하고 더 나은 주문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우리 파트의 주 역할이었지.
배민 서비스의 전면부를 맡고 있다 보니 우리 파트에서 문제가 생기면 배민 서비스 전체가 마비된다는 점에서 막중한 책임을 느끼며 일했어.
그때 그때 떠오른 아이디어를 유리창에 써서 설명하는 열정적인 광일.
Q. 배민에서 특별히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나 경험이 있어?
[조광일 CTO]는 왜 배민에서 디어로 왔을까
오늘 디어 인터뷰에서 만나볼 사람은 디어의 CSO이자 물류 사업부를 리드하고 있는 조재호 형입니다.
재호 형은 사실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 ‘베인앤컴퍼니’에서 시니어 매니저까지 오른, 탄탄대로가 펼쳐져 있던 사람인데요.
그런 재호 형이 보장된 미래를 박차고 ‘디어’라는 스타트업에 합류한 계기는 무엇일까요?
“컨설팅을 오래 했지만, 결국 내 뿌리는 엔지니어였어. 내 손으로 직접 프로덕트를 만들고 싶다는 욕망을 참을 수 없어서 이직을 결심했지. 무수한 스타트업 가운데 사업 방향성이 일치하고, 인재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 바로 디어였어.”
이번 인터뷰에선 물류 팀이 어떻게 혁신적인 프로덕트를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만들어낼 수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합류할 팀원에게는 어떤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었습니다. 함께 보시죠.
캐리 SaaS와 관련된 핵심 철학을 설명하는 재호 형.
Q. 디어에 오기 전, 재호 형은 어떤 커리어를 쌓아왔어?
아주 간략하게 얘기하면 ‘베인앤컴퍼니’에서 8년 동안 컨설턴트로 일했어. 중간에 대한제분 전략기획팀으로 잠깐 이직하기도 했고, 해외 MBA를 다녀오기도 했지만 결국 커리어의 시작과 끝은 베인이었지.
[조재호 CSO] "베인앤컴퍼니 시니어도 설레게 만든 디어의 인재밀도"
9월 첫째 주 TGIF에서는 재석이가 김명재 형을 인터뷰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사전에 팀원들이 익명으로 제출한 질문에 하나하나 답해주는 시간이었는데요.
다들 오늘 인터뷰를 통해서 명재를 좋아하는 마음이 더 커졌을 거라고 생각해요!
•
명재가 쓴 글들이 궁금하다면 아래 블로그에 방문해 주세요!
Q. 명재 형 안녕!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해.
프론트엔드 개발 리드로 디어에 왔지만… 지금은 물류팀 개발 리드를 맡고 있는 김명재라고 합니다.
Q. 명재 형이 잘생겼다!는 질문(?)이 있었어. 세 명이나 거기에 하트를 달았는데 본인은 어떻게 생각해?(웃음)
세 명이나 하트를 달았다면 잘생긴 게 아닐까요? (농담) 사실 잘 모르겠어요. 좋게 봐주어서 고마워
Q. 디어 내에서 힙한 패션으로 이름이 높은데, 어떤 노력을 하나요?
‘힙한 사람’이라고 봐줘서 고마워. 사실 나는 패션에 큰 관심은 없었고, 인생에서 30년 정도는 아무 옷이나 막 입고 다녔어.
이건 좀 아니다 싶어서… 작년에 유튜브를 참고해서 옷을 많이 샀거든. 그 옷들을 돌려 입고 있는데, 힙한 패션으로 보인다니 뿌듯하네. 근데 아마 지금의 스타일을 한 10년 정도는 유지하지 않을까?
[김명재 물류팀 개발 리드] “기술로 세상의 고통을 줄이는 개발자가 되고 싶어”